Skip to content

조회 수 627 추천 수 1 댓글 1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0||0



    
        
            
        
    


            

            
            

            

            

                    삶에서 남기지 말아야 할 것과 남길 것
                    훌륭한 화가는 언제 붓을 거두어야 하는 줄 알고,
                    훌륭한 지휘자는 어떻게 연주를 마감해야 하는 줄 압니다.
                    이렇듯 우리의 삶도 어떻게 정리하고 마감하느냐를 알아야 합니다.
                    이를 위하여 삶의 길에서 남기지 말 것과 남길 것을 알아야 합니다.
                    첫째는 아쉬움을 남기지 말고, 기쁨을 남겨야 합니다.
                    우린 때때로 놓친 고기를 아쉬워합니다.
                    하지만 놓친 고기는
                    본래 내 것이 아니었기에 내게 오지 않은 것일 뿐입니다.
                    환영에서 벗어나 삶에 아쉬움을 남기지 말고, 지금 순간순간
                    나타나는 삶을 차지하고 기쁨으로 채우십시오.
                    둘째는 회한을 남기지 말고, 참회를 남겨야 합니다.
                    “그렇게 했으면 좋았을 것을!”
                    “나는 왜 이렇단 말인가?”하는 회한이나 자탄을 남기지 마십시오.
                    회한은 삶에 실재하는 현실이 아니라 망상이며 나약함의
                    증거일 뿐입니다.
                    회한은 회한을 낳고 매순간 삶의 밑바닥에 구멍을 내버립니다.
                    과거는 이미 지나갔으니 회한을 버리고 참회를 하십시오.
                    참회는 과거를 벗고 새 날을 새롭게 맞도록 하는
                    영적인 힘과 은총을 얻게 합니다.
                    셋째는 치적을 남기려 말고, 감사를 남겨야 합니다.
                    자화자찬으로 치적을 남기려는 것은 영적 빈곤을 드러내는 것이며,
                    삶의 깊음과 은총의 높음을 알지 못한 때문입니다.
                    아니면 삶에 아쉬움을 가진 거짓된 미화일 뿐입니다.
                    살아서 스스로 동상을 세운 이들이
                    어떠한 최후를 맞이하였는가를 생각해 보십시오.
                    깊음에 이르고 높은 하나님의 은총을 아는 이에게 남는 것은 감사뿐입니다.
                    - 좋은 글 중에서
                

            

            
            

            

                    나의 삶은 내가 만들어간다
                    자신의 삶은 자신이 만들어 가는 것입니다.
                    나의 작은 습관들이 모여 나를 만들어갑니다.
                    알게 모르게 수년이 지나면
                    내 습관이 나를 얼마나 변하게 했는지 알 수 있습니다.
                    10년이 지나고나면 작지만 좋은 습관들을 만들어가는
                    성공자의 삶을 살았으면 좋겠습니다.
                    항상 긍정의 눈으로 세상을 보는 습관,
                    항상 긍정의 말만 하는 습관,
                    남에게 뭔가 주는 것을 기뻐하는 습관,
                    문제만 제시하지 않고 대안도 제시할 줄 아는 습관,
                    그런 습관들을 만들며 승자의 삶을 살았으면 좋겠습니다.
                    이미 만들어진
                    나쁜 습관들은 하나씩 지워갈 수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좋은 말, 좋은 행동을 늘 반복으로 그 반복들이 모여서
                    좋은 습관이 만들어 졌으면 좋겠습니다.
                    - 마음을 열어주는 따뜻한편지 중에서
                

            

            
            

            

                    풍요로운 삶의지표
                    희망
                    모든 것을 잃었다 해도 희망만 남아 있다면,
                    거기에는 모든 것을 다시 시작할 수 있다,
                    희망은 항상 출발이자 영원한 시작이다,
                    용기
                    인생의 승리는 모두 용기에서 시작된다,
                    한 걸음 내딛는 용기, 좌절하지 않는 용기,
                    자신에게 지지 않는 용기, 용기만이 벽을 부술 수 있다,
                    일
                    사회의 터전에서 일으키는 투쟁에는
                    신용을 얼마나 쌓았느냐가 중요하다,
                    그러기 위헤서는 성실과 성의, 진심밖에 없다,
                    정의
                    참된 정의는 민중의 행복이고 평화여야 마땅하다,
                    어떠한 대의[大義]가 있을지라도 그로인해
                    불행한 사람이 생긴다면, 정의는 존재하지 않는다,
                    - 어느 일간지 에서
                

            

            
            

            

                    선탈 蟬脫
                    뜨겁게 한철을 울던 매미소리도 잦아들었다.
                    여름이 서서히 가고 있음이다.
                    도시의 매미소리에 대한 낭만은 이미 소음으로 바뀐 지 오래.
                    마치 톱질하듯 사뭇 시끄럽다.
                    그러나 약 칠년을 땅속에서 유충으로 있다가
                    땅위에서 허물을 벗고 열흘간(길게는 한 달로 보기도 함)
                    뜨겁게 살고 가는 매미의 일생이다.
                    매미의 유충이 허물을 벗는 것을 선탈이라고 하는데
                    이때부터 성충으로서의 매미의 삶이라 할 수 있다.
                    사람은 수명이 길어져서 이제 백수를 논하는 시대다.
                    단 열흘간이라는 매미의 삶.그들의 하루는 인간 삶의 십년이라 할 수 있다.
                    그만큼 처절하게 살고 가는 셈이다.
                    선탈은 낡은 양식을 벗어버린다는 뜻도 포함하고 있다고 하니
                    여태 우리가 벗어나지 못하는 낡은 사고, 낡은 생활태도도
                    매미가 허물을 벗듯 과감히 벗어날 필요가 있음을 배운다.
                    - 최선옥 시인
                    
                

            


 






 



  • ?
    허강배 2011.09.19 07:57
    우리의 삶에는 3가지독이 있다 성냄과 탐욕 그리고 어리석음이 그것이다 이를 없애기 위해서는 인생의 바른 계를 세우고 이를 잘 정립하며 지혜를 얻어 살아가는 것이다
    인생이라는 항해에는 왕복표가 없다. 한번 출발하면 다시는 처음으로 되돌아 갈수 없기에
    성공의 반대말이 실패라 생각하지만 실상은 내일이라 한다 하루하루를 미루다 보면 성공은 염원한 것이 되고 만다
    오늘 하루를 인생의 마지막이라 생각하고 열심히 살아갈 뿐이다 마지막날 주님과 함께할 수 있기를 바라며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16 양파로 건강을 챙기셈요^^ 강데레사 2013.06.28 359
115 어느 날의 커피 강데레사 2011.03.08 722
114 어느 노모의 푸념 강데레사 2013.05.08 419
113 어느 노부부의 love-story 3 강데레사 2011.09.07 651
112 어느 노인의 아름다운 죽음 강데레사 2012.10.05 388
111 어느 수녀님의 기도문을 읽고 강데레사 2010.10.02 1276
110 어느 작은성당 벽에 적혀있는 글 2 강데레사 2011.02.09 725
109 어제의짐 2 강데레사 2011.10.12 699
108 엄마, 아빠의 사랑과 한계 강데레사 2012.09.10 480
107 엄마는 그래도 되는 줄 알았습니다. 다니엘라 2015.05.07 579
106 여왕이신 복되신 동정 마리아 강데레사 2011.08.22 624
105 열사병 예방 기본수칙 file 이재인(요한) 2018.07.24 105
104 영성체와 영성체 때의 준비 file 정경미 2012.04.06 456
103 예비자 교리반 청강생의 눈물 주카타리나 2012.03.11 448
102 예수님 어서오십시요 강데레사 2010.12.23 857
101 오늘 아침에 .... 이재인(요한) 2019.02.13 159
100 오늘은 어린이날 다니엘라 2015.05.05 475
99 오늘을 위한 기도 / 이채 강데레사 2013.06.22 370
98 오늘의 묵상 1 정경미 2014.06.06 243
97 왜 나만 겪는 고난이냐고 / 낮은울타리 강데레사 2013.07.11 392
Board Pagination Prev 1 ... 7 8 9 10 11 12 13 14 15 16 ... 17 Next
/ 17
미 사 시 간
06:30  
  19:30
10:00  
  19:30
10:00  
06:30

1주
10:00
주 일
18:30
주일 10:30
3주 쌍백 14:00
3주 삼가 16:00
2,4주 야로 16:00

예비신자 교리반 안내
구 분 요 일 시 간 
성 인 주 일 09:30

50236 합천군 합천읍 충효로3길 10 합천성당
전화 : 055-931-1283, 팩 스 : 055-931-1294

Copyright (C) 2020 Diocese of Masan. All rights reserved.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